ORACLE 함수(Function)

 

1. 함수(Function) 란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야기 하는 함수는 수학에서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함수와 동일합니다. 매개변수를 받아 특정 계산(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함수(函數, function)는 수학에서 두 집합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논리적 개념으로, 간단하게 정의역의 각 원소마다 공역의 원소를 오직 하나씩 대응되는 관계를 말한다.(나무위키)

 

 

2. Oracle 함수의 종류

오라클 함수는 함수를 제작하는 주체를 기준으로 오라클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내장함수(Built-in Function)와 사용자가 필요시 직접 정의한 사용자 정의 함수(User-definde Function)으로 나뉩니다.

내장함수는 입력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한 행씩 입력하고 처리하는 단일행 함수(Single-row Function)와 여러행을 입력받아 하나의 결로고 반환하는 다중행 함수(Multiple-row Function)로 나뉩니다.

주체기준 분류 입력방식에 따른 분류 함수분류 함수
내장함수
(Built-in Function)
단일행 함수
(Single-row Function)
문자함수 UPPER, LOWER, INTCAP
LENGTH, LENGTHB
SUBSTR
INSTR
REPLACE
LPAD, RPAD
TRIM, LTRIM, RTRIM
숫자함수 ROUND
TRUNC
CEIL, FLOOR
MOD
날짜함수 SYSDATE
ADD_MONTHS
MONTHS_BETWEEN
NEXT_DAY, LAST_DAY
ROUND, TRUNC
변환함수 TO_CHAR
TO_DATE
DECODE
NULL 
처리함수
NVL
NVL2
다중행 함수
(Multiple-row Function)
 집계함수 SUM
COUNT
MAX, MIN
AVG
사용자 정의 함수
(User-definde Functio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