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LL에 관하여

Null 또는 NULL은 구조적 질의언어(SQL)에서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특별한 표시어(special marker)이다' _ 위키 

 

데이터베이스를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이 혼동스러워 하시는 개념 입니다.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말은 NULL은 비어 있는 공백이나, 숫자에서 없음을 뜻하는 0이 아닙니다. 말 그대로 값이 없는 상태입니다. 

 

비어 있기 때문에 연산을 수행 할 수도 없습니다.

  • NULL + 숫자 = NULL
  • NULL > 숫자 = NULL
  •  

 

아직 부여되지 않은 값을 의미 합니다. 예를들어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이의 생일,

 

직원 중 수당(SAL)이 없는(NULL) 직원을 조회하고 싶은 경우 아래와 같이 조회 하시면 됩니다. 예제로 사용된 TABLE의 정보는 'SCOTT 계정 예제 Table(emp, dept, salgrade)'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SELECT *
FROM EMP
WHERE COMM IS NULL;

 

예제에서 NULL인 컬럼을 조회하기 위해서 'IS NULL' 연산자를 사용하였습니다. 혹시 'COMM = NULL'이라고 하면 NULL인 컬럼을 검색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시는 분도 계실 것 같아 직접 쿼리를 수행해 보았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아무런 결과 값을 출력하지 않습니다. 쿼리를 통한 연산에서 값이 'TRUE'인 경우에 결과를 출력하는데, NULL과의 연산 결과는 NULL로 결과 값이 'TRUE'도 'FALSE'도 아니기 때문에 결과값으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논리 연산자와 NULL의 관계

AND 연산자

  true false NULL
true true false NULL
false false false NULL
NULL NULL NULL NULL

 

OR 연산자

  true false NULL
true true true NULL
false true false NULL
NULL NULL NULL NULL

 

 

테이블을 삭제하는 DROP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테이블을 삭제할 때 DROP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DROP 기본형식

DROP TABLE 테이블 명;

 

DROP 사용 예

실습을 위해 만들어 놓았던 DEPT_BAK 테이블을 삭제해 봅시다.

DROP TABLE DEPT_BAK04;

 

문자에 포함된 %, _ 찾기

데이터에서 '%'나 '_'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어떻게 찾으면 될까요? LIKE문에서 '%'와 '_'는  와일드 카드로 사용되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해당 문자열의 포함여부를 찾으실수 없습니다. 이때에는 ESCAPE절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문자열에서 '0_0'로 시작하는 데이터를 찾으려면 아래와 같이 SQL문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SELECT *
FROM SAMPLE_TABLE
WHERE SAMPLE_COLUMN LIKE '0\_0%' ESCAPE '\';

 

'\'는 '\'문자 바로 뒤에 있는 '_'를 와일드 카드가 아닌 문자로 인식하라는 의미입니다. 이스케이프 문자 '\'는 ESCAPE절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다른 문자도 지정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Oracle] 형변환 함수 - 날짜/숫자 → 문자열 TO_CHAR 함수 

 

TO_CHAR 함수는 날짜 데이터를 문자열 데이터로 바꾸거나, 숫자 데이터를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합니다.

TO_CHAR( 날짜 데이터, 출력하길 원하는 문자 형태 )

 

기준 포멧

기분포멧 기준단위
CC 세기
YYYY, RRRR 연(4자리 숫자)
YY, RR 연(2자리 숫자)
MM 월(2자리 숫자)
MON 월(언어별 월 이름 줄임말)
MONTH 월(언어별 월 이름 전체)
DD 일(2자리 숫자)
DDD 1년 중 몇일(1~366)
DY 요일(언어별 요일 이름 줄임말)
DAY 요일(언어별 요일 이름 전체)
W 1년 중 몇 번째 주(1~53)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이블을 삭제하는 DROP  (0) 2025.09.02
문자에 포함된 %, _ 찾기  (1) 2025.09.01
[Oracle] 형변환 함수  (0) 2025.08.25
SQL Developer 질의 결과 내보내기  (0) 2025.08.20
[Oracle] 날짜 함수 - 날짜의 버림 TRUNC 함수  (0) 2025.08.19

[Oracle] 형변환 함수

 

오라클에서는 동일한 자료 형에 대한 연산을 제공합니다. 연산을 위해서 자동으로 형을 변환해 주는 경우도 있으나, 명확한 결과를 위해서는 자동변환(암시적 형 변환, Implicit type conversion)을 이용하기 보다는 형변환후 사용하는 추천합니다.

 

자동 변환(암시적 형변환)의 예

SELECT  SAL, SAL + '777'
FROM EMP;

숫자형 데이터에 문자형 데이터 '777'을 더하면 오류가 날것 같지만, 자동변환을 통하여 연산되어 집니다.

 

명시적 형변환(Explicit type conversion)

명시적 형변환은 자동으로 자료형이 변환되는 방식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자료형을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명시적 형변환에 사용하는 함수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종료 설명
TO_CHAR 숫자 또는 날짜 데이터를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
TO_NUMBER 문자열 데이터를 숫자 데이터로 변환
TO_DATE 문자열 데이터를 날짜 데이터로 변환

 

 

SQL Developer 질의 결과 내보내기

 
SQL Developer에서 질의 결과를 엘셀, csv, json 등으로 받아 재가공 하고 싶을때 익스포트 기능을 통하여 반출 할수 있습니다. 
 
SQL Developer [질의 결과] 탭에서 마으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보여지는 메뉴에서 [익스포트(E)]를 선택하면 '익스포트 마법사' 창이 보여 집니다.

 
내보낼 형식을 선택하기 위하여 [형식(F) | ▼ ] 부분을 클릭 합니다.

 
여러가지 형식중 내보낼 형식을 선택합니다 저는 'excel 2023+ (xlsx)'를 선택하였습니다.

 
[파일(F)] 을 통하여 익스포트 받을 파일의 위치 몇 파일명을 설정한후, 하단에 [다음(N)] 버튼을 클릭 합니다.

 
저장된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Oracle] 날짜 함수 - 날짜의 버림 TRUNC 함수

날짜에 대한 버림시에는 숫자 데이터를 다룰 때와는 달리 버림의 기준이 될 포맷을 정의 합니다. 

ROUND ( 날짜 데이터, [반올림 기준 포맷] )

 

기준 포멧

기분포멧 기준단위
CC, SCC 네 자리 연도의 끝 두 자리 기준
(2016년이면 2050 이하이므로 반올림하면 2001년으로 처리)
SYYYY, YYYY, YEAR, SYEAR, YYY, YY, Y 날짜 데이터의 해당 연/월/일의 7워 1일 기준
(2016년 7월 1일인 경우 2017년으로 처리)
IYY, IY, I ISO 8601에서 제정한 날짜 기준 연도 포맷을 기준
Q 각 분기의 두 분째 달의 16일 기준
MONTH, MON, MM, RM 각 달의 6일 기준
WW 해당 연도의 주(1~53번째 주) 기준
IW ISO 8601에서 제정한 날짜 기준 해당 년도의 주(week) 기준
W 해당 월의 주(1~5번째 주) 기준
DDD, DD, J 해당 일의 정오(12:.00:00) 기준
DAY, DY, D 한 주가 시작되는 날짜가 기준
HH, HH12, HH24 해당 일의 시간 기준
MI 해당 일 시간의 분 기준

 

SELECT  SYSDATE,
        TRUNC(SYSDATE, 'CC'),
        TRUNC(SYSDATE, 'YYYY'),
        TRUNC(SYSDATE, 'Q'),
        TRUNC(SYSDATE, 'DDD'),
        TRUNC(SYSDATE, 'HH')
FROM DUAL;

 

[Oracle] 날짜 함수 - 날짜를 반올림 하는 ROUND 함수

날짜에 대한 반올림시에는 숫자 데이터를 다룰 때와는 달리 반올림의 기준이 될 포맷을 정의 합니다. 

ROUND ( 날짜 데이터, [반올림 기준 포맷] )

 

기준 포멧

기분포멧 기준단위
CC, SCC 네 자리 연도의 끝 두 자리 기준(2016년이면 2050 이하이므로 반올림하면 2001년으로 처리)
SYYYY, YYYY, YEAR, SYEAR, YYY, YY, Y 날짜 데이터의 해당 연/월/일의 7워 1일 기준(2016년 7월 1일인 경우 2017년으로 처리)
IYY, IY, I ISO 8601에서 제정한 날짜 기준 연도 포맷을 기준
Q 각 분기의 두 분째 달의 16일 기준
MONTH, MON, MM, RM 각 달의 6일 기준
WW 해당 연도의 주(1~53번째 주) 기준
IW ISO 8601에서 제정한 날짜 기준 해당 년도의 주(week) 기준
W 해당 월의 주(1~5번째 주) 기준
DDD, DD, J 해당 일의 정오(12:.00:00) 기준
DAY, DY, D 한 주가 시작되는 날짜가 기준
HH, HH12, HH24 해당 일의 시간 기준
MI 해당 일 시간의 분 기준

 

SELECT  SYSDATE,
        ROUND(SYSDATE, 'CC'),
        ROUND(SYSDATE, 'YYYY'),
        ROUND(SYSDATE, 'Q'),
        ROUND(SYSDATE, 'DDD'),
        ROUND(SYSDATE, 'HH')
FROM DUAL;

 

 

[Oracle] 날짜 함수 - 돌아오는 요일을 구하는 (NEXT_DAY)

 

NEXT_DAY 함수는 날짜데이터와 요일 문자열을 지정하여 입력한 날짜 데이터 다음에 돌아오는 요일이 몇일인지를 반환합니다.

NEXT_DAY( 날짜 데이터, 요일문자 )

 

요일문자는 요일을 나타내는 문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1  일요일  SUNDAY   SUN 
2  월요일  MONDAY   MON 
3  화요일   TUESDAY   TUE 
4  수요일   WEDNESDAY   WED 
5  목요일  THURSDAY   THUR 
6  금요일   FRIDAY   FRI 
7  토요일  SATURDAY   SAT 

 

오늘 다음에 오는 월요일이 몇일인지 확인해 봅시다.

SELECT SYSDATE,
        NEXT_DAY(SYSDATE,'월요일'),
        NEXT_DAY(SYSDATE,'월'),
        NEXT_DAY(SYSDATE,2)
FROM DUAL;

 

오늘을 기준으로 이전에 특정요일이 몇일이었는지 알고 싶으면 어떻게 하면 될까? 기준일을 1주일 전(SYSDATE-8)으로 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SELECT SYSDATE,
        NEXT_DAY(SYSDATE,'월요일'),
        NEXT_DAY(SYSDATE-8,'월요일')
FROM DUAL;

[Oracle] 날짜 함수 - 두 날짜 간의 개월 차이를 구하는 함수(MONTHS_BETWEEN)

 

MONTHS_BETWEEN 함수는 두개의 날짜 데이터 간의 개월 수 차이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MONTHS_BETWEEN 함수를 이용하여 직원(EMP) 테이블에서 사원들이 입사한지 얼마나 되었는지 알아 봅시다.

 SELECT ENAME, HIREDATE, SYSDATE, MONTHS_BETWEEN(HIREDATE, SYSDATE)
FROM EMP;

아래는 입사일로 부터 오늘까지의 기간(개월)을 조회한 결과 입니다. 

입사일에서 오늘까지의 개월수 차이를 구하니, 음수에, 소수점 까지 나오네요. 이것을 보기 좋게 정리해 봅시다.

SELECT  ENAME, HIREDATE, SYSDATE, 
        MONTHS_BETWEEN(SYSDATE, HIREDATE),
        TRUNC(MONTHS_BETWEEN(SYSDATE, HIREDATE)) AS TOTAL_MONTH,
        TRUNC( TRUNC(MONTHS_BETWEEN(SYSDATE, HIREDATE))/12) AS YEAR,
        MOD(TRUNC(MONTHS_BETWEEN(SYSDATE, HIREDATE)),12) AS MONTH
FROM EMP;

너무 복잡해 보이시나요?

  • MONTHS_BETWEEN(SYSDATE, HIREDATE) : 입사일로 부터 오늘 까지의 개월 수를 구합니다.
  • TRUNC(MONTHS_BETWEEN(SYSDATE, HIREDATE)) : 개월수의 소수점 이하는 버리고 정수부분만 취합니다.
  • TRUNC( TRUNC(MONTHS_BETWEEN(SYSDATE, HIREDATE))/12)  : 개월수를 년으로 환산하기 위해서 12로 나누고 소수점 이하는 버립니다. 
  • MOD(TRUNC(MONTHS_BETWEEN(SYSDATE, HIREDATE)),12) : 개월수를 1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하나씩 생각해 보면 익숙하지 않아서 그렇지 쿼리에서 모르는 부분은 없을 것 같네요.

 

※ 예제로 사용된 TABLE의 정보는 'SCOTT 계정 예제 Table(emp, dept, salgrade)'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예제에서 소수점 이하를 버리는데 사용된 TRUNC 함수가 궁금하신 분은 '[Oracle] 숫자 함수 - 특정 위치에서 버리는 함수(TRUNC) '부분을 참고 하시면 됩니다. 

+ Recent posts